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하마스의 공격에 뚫린 이스라엘을 보면서 북한이 장사정포를 쏘면 '우리가 막을 수 있을까' 걱정도 커졌죠. <br> <br>그래서 우리 정부가 군사분계선 인근에 '정찰기'를 다시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"잘못된 9·19 합의 중에서 시급히 복원해야 할 사안에 대해 최단시간 내에 효력을 정지시키겠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이스라엘을 향한 하마스 공격 이후 북한 위협 대응 체계를 점검하며 한 발언입니다. <br> <br>하마스의 로켓 공격에 뚫린 이스라엘처럼 휴전선 인근에 집중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에 우리 수도권이 위험하다는 경각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군은 '시급히 복원해야 할 사안'으로 비행금지구역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<br>9·19 군사 합의로 군사분계선 기준 서부 최대 20km, 동부 최대 40km까지 금지시킨 비행금지구역을 없애고 휴전선 인근까지 정찰기를 다시 투입하겠다는 겁니다.<br><br>정부 고위 관계자는 "감시, 정찰 능력 복원을 위해선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푸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> <br>기습 공격을 막는 확실한 방법은 감시, 정찰을 통한 사전 파악이라는 판단 때문입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도 어제 열린 국무회의에서 "감시와 정찰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"고 군에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오늘은 장관과 참모진을 불러 이스라엘 사태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습니다. <br> <br>[긴급 경제·안보 점검회의] <br>"경제와 안보 측면에서 우리 국민이 조금이라도 피해를 보거나 위험에 빠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대비해주기 바랍니다." <br> <br>이에 앞서 윤 대통령은 미국 상원의원 대표단을 만나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무차별적 공격을 규탄했습니다. <br> <br>정보 당국은 북한의 포가 하마스에 흘러들어간 정황도 포착해 사태를 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한규성, 조승현 <br>영상편집: 박형기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